나에게 직장은 어떤 곳일까?
우리가 많이 잊고 있는 질문이다. 직장은 내가 생활을 하기 위한 돈을 버는 곳이지만, 내 꿈과 비전을 이루기 위해 중요한 지식과 경험을 얻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나와 비슷하기도 하고, 다른 지식과 경험,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그럼 모든 직장인들에게 질문을 던져보겠다. ‘왜 우리 회사에 오셨나요?’, ‘우리 회사에서 경험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그 경험들은 당신의 꿈과 비전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이 질문에 대한 스스로의 답을 고민하고, 정리하는 것이 먼저이다. 개인적으로 앞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들은 세대의 이슈가 아닌, 시대의 이슈라고 여겨진다. 요즘 시대가 많이 고민할 수밖에 없는 시대이니까.
정답이 없는 시대
요즘은 VUCA-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 - 의 시대라고도 하는, ‘내일을 예측할 수 없고,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니 어떤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아무도 정답을 모르는’ 시대이다. 이는 ‘지식과 기술이 쌓이는 속도’가 우리가 학습하고 따라잡을 수 있는 속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10년 전만 해도 내가 시간을 투자하는 만큼 내 직업에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내가 모르는 지식들이 온라인상에 넘쳐나고 있다. 한 사람이 모든 것을 알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CEO도, 팀장도 그리고 M과 Z세대도 모두에게.
정답이 없는 시대,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서로가 알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더 나은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 이상 X세대 선배들이 가르쳐주고, Z세대 후배들은 배우기만 하는 그런 시대가 아니다. X세대의 리더와 선배들은 지금까지 내가 경험해 온 성공, 실패 사례를 공유하며 더 나은 대안을 찾는 대화를 시작하고, Z세대는 온라인상에서 학습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들을 선배에게 공유하며, 과거의 경험에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덧씌우는 것이어야 한다. 참, M세대는 두 가지 모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KIRD R&D Trend Report, Vol. 2 2023
'Future Strategy > 미래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주택 비율 - 강원도 (0) | 2023.08.11 |
---|---|
노후 주택 비율 - 전라북도 (0) | 2023.08.10 |
노후 주택 비율 - 경상북도 (0) | 2023.08.09 |
노후 주택 비율 - 전라남도 (0) | 2023.08.08 |
노후 주택 비율 - 전국 (0) | 2023.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