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의 시작이 '주제 정하기'라면 본격적인 논문쓰기의 시작은 '연구/논문 계획서 만들기'부터 라고 말할 수 있다. 계획서만 보고도 논문의 결과들이 보일수 있어야 한다. 연구 목적, 배경과 필요성, 선행 연구, 이론(모형, 가설), 조사나 실험의 설계, 연구(실험, 검증) 방법, 예상되는 결과와 시사점 등이 모두 담겨야 한다. 연구계획서, 학위논문계획서 또는 프로포절 작성이라고 보면 된다. 내용 디자인(논문계획서 작성)은 '지금부터 논문 공부 시작할께요'가 아니라 '이제부터 논문쓰기 시작할께요'이므로 혼자 많은 고민과 사전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작성
논문쓰기의 가장 우선 순위는 목차 작성이다. 논문 파일에 목차부터 작성한다. 목차의 구성은 정해진 바 없으나, 다음에 제시하는 흐름을 따른다. 필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수 있지만, 큰 제목이 많으면 논문의 구조가 어색할 수 있다. 만약 추가하고 싶은 항목은 가급적 큰 제목 하위 소제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사논문의 경우는 I장, II장 등으로 카테고리화 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석사논문의 경우 아래 제시되는 구조가 확실하게 연구결과 등을 전달하는데 적합하다.
목차
0. 초록
1. 서론
2. 이론적 배경(또는 선행 연구)
3. 연구(실험) 방법
4. 연구(결과) 결과
5. 결론
6. 참고문헌
7. 부록
내용 디자인
목차가 작성되었다면, 목차의 내용에 대한 구성을 해야 한다. 다음의 3항목에 대한 것만 작성한다.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다. 나머지 목차 항목은 추후에 작성한다. 여기서는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항목에 포함시킬 내용에 대하여 작성해보는 것이므로 개조식, 요약식으로 작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실제 연구를 진행하면서도 추가, 수정, 보완 될 것이다.
<1. 서론>
연구의 필요성을 적어본다. 이 연구를 진행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작성한다.
연구의 문제를 적어본다. 기존의 어떤 문제가 있어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는가를 작성한다.
연구의 목적을 적어본다. 이 연구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작성한다.
<2.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정리
<3. 연구 방법>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적용할 연구 대상, 사용할 도구와 분석 방법에 대하여 작성한다. 사용할 도구라고 한다면 설문지, 기존 데이터 또는 측정 장비 등이 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방법에 대하여 작성한다.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스프레드시트 도구를 작성한다.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https://kmong.com/knowhow/gig/508037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크몽
용고opt2mot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대학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여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싶어서 ~~ ""대학...
kmong.com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통계 6주 완성>
https://kmong.com/knowhow/gig/508541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통계 6주 완성 - 크몽
용고opt2mot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이런 분들이라면 놓치지 마세요 !!샐러던트: 대학원에서 연구를 시작하는 샐러던트대학원생: ...
kmong.com
https://tumblbug.com/masterstatistics?ref=GNB%2F%EC%8B%A0%EA%B7%9C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통계 6주 완성
논문작성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계 개념, 엑셀 통계 활용 방법 제시와 분야별 활용 사례
www.tumblbug.com
'Future Strategy > 샐러던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클리닝 (0) | 2023.08.30 |
---|---|
석사 논문 경계 정하기 (0) | 2023.08.08 |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통계 6주 완성 (0) | 2023.08.06 |
석사 논문 작성에 앞서 (0) | 2023.08.05 |
어른들의 공부법 - 공부하기로 결심한 당신을 위한 안내 (0) | 2022.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