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라인 유통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쿠팡 입점을 통해 위탁이나 구매대행으로 물건을 판매해 수익을 만들 수 있다.
2. SNS 운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으로 사람들에게 자신을 알리고 가치를 제공하고 소통하며 컨텐츠를 만들어 보자. 분명 팬들이 생기면 수익화가 가능해 진다.
3. 지식 창업
초보도 누군가는 가르칠 수 있다. 바로 왕초보를 가르치는 것이다. 다른 사람보다 잘하는 한가지만 있어도 왕초보들을 가르치며 성장해 나갈 수 있다. 전자책부터 써보는 건 어떨까?
‘지식 창업’은 무한적 유연성으로 그 생산성과 가치가 상승하는 장점까지 있다.
‘지식 창업’은 J 커브를 그리는 것과 동일하다. 노력 대비 수익이 적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일단 완성만 하면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도적인 생산성으로 꾸준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고 평판이 좋아지면 기업에서 강의 요청이 쏟아지거나 출판사에서 출간을 제안 받을 수도 있다는 기대 효과도 고려할 수 있다.
4. 제휴 마케팅
제휴 마케팅을 통해 디지털 노마드가 될 수 있다. 제휴 마케팅을 통해 사입없고 투자금 없이 일정금액 이상의 커미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온라인제휴마케팅은 크게 머천트, 어필리에이트, 대행사 3가지로 구분 된다. `머천트(Merchant)'는 광고주라고도 불리며,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 또는 회원 확보 등 브랜드 알리기를 희망하는 업체를 지칭한다. `어필리에이트(Affiliate)'는 개인 또는 회사의 웹사이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머천트와 제휴를 맺고 이를 통해 수익창출을 희망하는 광고매체 사이트를 말한다. `대행사'는 머천트를 대신해 어필리에이트 모집 및 관리를 담당하고 관련 리포트 및 다양한 제휴마케팅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제휴마케팅업체를 말하며, 아이라이크클릭과 같은 온라인제휴마케팅 회사가 여기에 해당된다.
`CPS(Cost Per Sale)'는 어필리에이트를 통해 머천트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가 이뤄졌을 경우, 판매된 금액의 일부를 광고비로 지급하는 방식으로 머천트는 상품의 특성이나 수익률을 고려해 비율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온라인쇼핑몰들이 선호하는 광고방식이며, 온라인제휴마케팅 대행사에 따라 어플리에이트 사이트에 좀더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애드큐브', `태그 팩토리', `키워드 박스 링크', `키워드 링크', `상품 검색창 링크', `아이콘별 링크'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CPA(Cost Per Action)'는 어필리에이트(충전소 등의 제휴사)를 통해 회원가입, 회원DB모집, 모바일 상품 가입 등이 이뤄졌을 경우, 그에 대한 대가로 광고비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특히 보험사이트나 신규 오픈 사이트에서 신규 회원 확보 및 사이트 홍보를 목적으로 할 때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Future Strategy > 기업가-창업40'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의 지속 불가능한 동기와 지속 가능한 동기 (0) | 2023.09.11 |
---|---|
참모 본능과 오너 본능 (0) | 2023.07.21 |
2022년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정의 및 가이드 #9-유산형the legacy (0) | 2022.12.01 |
2022년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정의 및 가이드 #8-디지털 유목민형the digital nomad (0) | 2022.12.01 |
2022년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정의 및 가이드 #7-허슬러형the Hustler (0) | 2022.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