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물은 투명하기 때문에 옷을 더 어둡게 보이게 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딱딱한 플라스틱 표면에는 그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니까요. 놀랍게도 이 현상에 대한 과학적 조사는 약 30년 전에야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 대학교의 물리학자 존 레크너John Lekner와 마이클 도프Michael Dorf는 이 어둡게 보이는 효과가 직물 표면이 거칠고 흡수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빛이 어떤 표면에 닿으면 일부는 다시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옵니다.
그러나 축축한 옷은 표면에 얇은 수분층이 있어(소재의 거칠음으로 인해 제자리에 고정되어) 반사된 광선 중 더 많은 부분이 굴절되어 '굴절'되어 경로를 벗어납니다. 또한 빛의 일부는 물막으로 다시 반사되거나 옷감의 작은 물로 채워진 구멍에서 산란되기도 합니다.
-----
R. Matthews, Science Focus,
728x90
'Tea ti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모래별 특징 (0) | 2023.05.06 |
---|---|
고양이는 왜 그렇게 많이 잘까? (0) | 2023.05.05 |
실내에서 빨리 옷을 말리는 과학적 방법 (0) | 2023.05.03 |
사랑에 빠졌다는 15가지 신호 (0) | 2023.05.02 |
한국계 인구 비율이 높은 해외 지역 (0) | 2023.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