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a time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 국적 Top 10

by 홍인브로 2022. 12. 22.
728x90

 

대한민국 일반귀화 국적취득 조건

1. 5년 이상 계속하여 대한민국에 주소가 있을 것

2. 대한민국 민법상 성년일 것

3. 품행이 단정할 것

4. 자신의 자산이나 기능에 의하거나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에 의존하여 생계를 유지할 능력이 있을 것

5. 국어 능력과 대한민국의 풍습에 대한 이해 등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지본 소양을 갖추고 있을 것

 

법무부 출입국자 및 체류외국인 통계

 

10위 네팔 

2020년 한 해 동안 한국의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네팔인은 60명이었습니다. 이는 2019년 보다 5.26% 상승한 수치입니다. 2020년에 한국 귀하를 구체적으로 본다면 부모가 한국 국적을 갖고 있거나 배우자가 한국 국적 일대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간이 귀하가 전체 대비 80% 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편 최근 10년간 네팔인의 한국 귀화 추세를 보면 2013년부터는 60에서 80명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0년 누계로는 총 574 명으로 이는 이번 Top 10 국가 중 9위에 규모 이기도 합니다.

 

9위 태국

20201년간 한국에 귀화하여 한국 국적을 얻은 태국인은 68명이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무려 30.7% 의 상승한 규모이기도 합니다. 2020년 태국인들의 한국 귀화 종류를 자세히 보면 일반귀하와 수반취득은 전혀 없었고 간이 귀화가 83.82% 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최근 10년간 태국인들의 한국 귀화는 매년 두 자릿수를 기록했는데, 2013년이 709명으로 가장 많은 수치였습니다. 10년 누계로 보면 총 569으로 이는 Top 10 중 10위입니다. 한편 태국인들은 이러한 한국 국적 취득과는 반대로 강제퇴거, 출국 명령, 통고처분, 고발, 과태료 등 출입국 관리법을 위반한 사람이 매년 만 명 이상을 기록해 대비를 이뤘습니다.

 

8위 우즈베키스탄

2020년 한 해 동안 우즈베키스탄인이 한국의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총 138 명이었습니다. 전체적인 수는 많지는 않지만 전년대비 2020년의 상승률만 봤을 땐 76.9% 를 기록해 Top 10 국가 2위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습니다. 이러한 2020년 우즈베키스탄의 귀화는 일반 귀하가 간이 귀하 보다 약간 많았는데 두 유형 모두 각각 39.13% 37.68% 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편 2011년 이후 지난 10년간 우즈베키스탄인의 귀화 추이를 보면 2019년까지 는 두 자릿수였다가 2020년 급증한 것이 주목됩니다. 10년 누계로는 총 791 명으로 Top 10중에서는 8위였습니다.

 

7위 몽골

2020년 한 해 동안 몽골인이 한국에 귀화해 국적을 취득한 수는 145명이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41.16% 상승한 수치입니다. 몽골인들의 2020년 한국 귀화 형태는 간이 귀화가 60.69% 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년과 비슷했습니다. 또한 최근 10년간 몽골인의 한국 귀화 추세를 보면 2011년 이후 매년 100명대로 감소했다가 2020년에는 다시 2011년과 비슷하게 상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년간의 누계로는 총 1,143명 이었습니다. 한편 몽골인 들 중 출입국 관리법을 위반한 사람은 20203,799명을 기록했는데, 이들은 강제퇴거, 출국 명령, 통고처분, 고발, 과태료 등의 처벌을 받았습니다.

 

6위 캄보디아

캄보디아인의 2010년 한국에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302명이었습니다. 다만 2019년과 비교했을 때는 9.59% 감소한 상황입니다. 2020년 한국 귀화의 구체적 유형을 보면 부모가 한국 국적을 갖고 있거나 배우자가 한국 국적 일 때 허용되는 간이 귀화가 거의 전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96.36%에 비중이었습니다. 한편 최근 10년간 캄보디아인들의 한국 귀화는 매년 300에서 500명 정도를 기록했는데,10년 누계를 본다면 총 4,084명이었습니다. 이는 Top 10에 오른 국가들 중 5위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5위 대만

2020년 한국의 귀하에 한국 국적을 취득한 대만인은 361명이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2019년 대비 17.5% 상승한 규모입니다. 2020년 대만인들의 한국 귀화 유형은 간 위 귀하가 56.79% 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일반 귀와 특별 귀화 순이었습니다. 한편 대만인들의 최근 10년 한국 귀화 추세를 보면 2015427명으로 정점을 보인 가운데 2017년까지 하향 추세를 보이다. 최근은 반등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이는 10년 누계 총 2,707명이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Top 10 국가들 중 6위 수준입니다.

 

4위 필리핀

2020년 필리핀이 한국에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375명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2019년 대비 11.35% 감소한 규모인데  Top 10의 국가들 중에서는 가장 큰 하락세였습니다. 이러한 필리핀인들의 2010년 한국 귀화 유형을 보면 부모가 한국 국적을 갖고 있거나 배우자가 한국 국적일 때 허용되는 간이 귀하가 90.93% 를 차지하며 귀화의 대부분을 구성했습니다. 한편 2011년 이후 10년간 필리핀인들의 귀화 추세는 2018년 597명으로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고, 이후 3년간은 하락했습니다. 10년 누계로는 총 4,115명으로 이번 Top 10 국가들 중에서는 4위에 해당했습니다.

 

3위 중국

법무부 통계에서는 중국인과 조선족이라 불리는 한국계 중국인을 별도로 분류 했는데 3위는 순수 중국인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2020년 한국에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중국인은 1,901명이었습니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2.28%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0년 중국인들의 한국 귀화 유형은 아버지나 어머니가 귀화를 신청했을 때 허가를 받았을 경우 자녀들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수반 취득이 43.03%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간이 귀화와 특별 귀화 순이었는데, 이와 달리 2019년에는 특별 귀하가 가장 많았습니다. 또한 2011년 이후 10년간 중국인들의 귀화 추이를 보면 2017년은 한 해 동안 4,781명이 귀화해 당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20년은 이후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인 것인데, 10년 누계로 보면 중국인들은 총 2904명으로 Top 10에서는 전체 3위 규모입니다. 한편 조선족과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은 한국에서 출입국 관리법을 위반한 사람이 2020년 한해에만 45,92645,926명이었는데 이는 압도적으로 많은 규모였습니다.

 

2위 베트남

베트남인 2020년 한해 동안 한국의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4,076명입니다. 전년과 비교해 쓸 때는 5.4% 상승한 수치입니다. 2010년 베트남인들의 한국과 유형을 보면 간이 귀화가 88.94%를 차지하며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결혼에 따른 취득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10년간 베트남인들의 한국 귀화는 매년 2,000에서 3,000명 대를 기록하다가 2018년은 5,000명에 육박할 정도로 최대 규모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10년 누계로는 35,529명으로 Top 10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2위에 해당 했습니다.

 

1위 조선족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조선족은 2020년 한 해 동안 한국의 총 6,031명이 귀화해 한국 국적을 취득했습니다. 1년 전과 대비했을 때 이는 95.24% 라는 경이적인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Top 10의 국가들 중에서는 단연 1위였습니다. 2020년의 귀화 유형은 일반 귀화가 가장 많았고 간이 귀화가 뒤를 이었습니다. 조선족의 10년 한국 귀화 추이를 보면 20117,730명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고 이후 매년 3,000에서 4,000명 대를 유지하다가 2020년 급증한 상황인데, 10년 누계로는 43,302명으로 이 역시 전체의 1위에 해당했습니다. 한편 2022120일 중국 요녕 신문은 조선족에 대한 기사를 실어 관심을 모았습니다. 내용인즉 2020년 중국 내 조선족 전체 인구는 170만 명 수준인데 이는 2000년보다 22만 명 줄어든 수치로 주된 이유는 일자리를 찾아 한국으로 대거 이동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 중국 내 가장 많은 조선족 있는 연변만 보면 2020년 기준 597,000명이 거주하고 있지만, 한국에는 같은 시기 이를 능가하는 708,000명이 거주하고 있어 대비를 이뤘습니다.

 

 

 

 

-----

법무부 출입국자 및 체류외국인 통계 자료(2020년 기준)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