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라면4

밀 가격은 떨어졌는데 라면 가격은 안 내려가는 이유 얼마전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직접 나서서 라면 가격을 비판했다. 밀 가격이 내려갔는데 라면 가격은 내리지 않는다는 이유인데요. 라면 업계는 가격 인하를 검토하고 있지만 바로 내리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1년 동안 13% 올랐다 지난 5월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13%오른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것이다. 2022년 하반기 라면 업체들은 국제 밀 가격이 올랐다는 이유로 10%정도의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밀 가격은 떨어졌다 5월 들어 국제 밀 가격은 톤당 228달러로 1년 전보다 45% 넘게 떨어졌다. 추 부총리의 발언은 국제 밀 가격 상승을 이유로 라면값을 줄줄이 올렸었는데, 밀 가격은 절반이 되었는데도 왜 가격.. 2023. 6. 26.
라면의 영양학 식사 대용으로 라면을 먹는데 영양학적으로 한 끼 식사 대용으로 괜찮을까? 한국인 열량 영양소 섭취 기준을 살펴보면, 전체 섭취 에너지 중 탄수화물은 약 60%, 단백질은 20%, 지방도 약 20% 내외로 권장하고 있다. 물론 이 내용은 기준에 따라서 조금씩은 달라지기도 하겠지만 예전에는 성인 하루 필요한 칼로리를 남성은 약 2,500kcal, 여성은 약 2000kcal로 잡지만, 평균적으로 하루에 약 2,000kcal를 기준으로 보게 된다면 하루에 세끼로 나누면 대략 한 끼에 66kcal가 된다. 신라면의 경우 영양성분을 좀 살펴보면 칼로리는 505kcal이고, 탄수화물이 약 79g, 단백질이 10g, 지방이 16g이고, 진라면의 경우 한 봉지에 500kcal 그리고 탄수화물은 77g, 단백질은 12g,.. 2023. 5. 31.
라면을 건강하게 먹기 어떤 기준을 가지고 선택을 해야 할까? 라면을 좀 더 건강하게 먹는 방법은 없을까? 첫 번째로는 포화지방 함량이 낮은 라면을 고르자. 라면 뒷면에 영양 정보란이 있다. 칼로리를 포함해서 탄수화물 양이라든지 지방 함량 단백질 나트륨 그리고 포화지방이라 든지 아니면 트랜스 지방의 함량 표시가 되어져 있다. 이 부분을 좀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두 번째로는 나트륨 함량이 낮은 라면이 고르자. 또한 가급적이면 국물은 다 마시지 않기를 노력해야한다. 세 번째로는 튀김면보다는 건면을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요즘은 건면도 여러 종류가 있어서 선택의 폭이 다양해지고 있다. 아무래도 라면은 열량 위주의 식품이다보니 건강한 재료를 추가해서 먹는다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영양학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단백질이라든.. 2023. 5. 30.
라면에 대한 오해?? 라면을 먹으면 살이 많이 찐다? 건강에 안 좋다? 가끔씩은 먹어도 괜찮다? 라면에 대한 오해가 너무 많다. 의도적으로 피하시는 사람들도 많다. 무엇이든 그렇듯이 많이 먹거나 너무 자주 먹는다면 건강상의 문제는 발생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라면의 부정적인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긍정적인 부분도 있고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많이 있다. 라면에 대한 오해 ??? 첫 번째로는 방부제가 많이 들어간다? 라면만 먹은 쥐가 한 달 만에 죽었다 이런 이야기도 있었던 것 같은데, 라면의 유통기한은 약 6개월 정도로 방부제가 많이 첨가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이 있다. 하지만 라면에는 방부제가 전혀 들어있지 않다. 미생물이 발생하려면 식품 자체의 수분 함량이 약 12% 이상이어야 하는데, 라면에 수분 함량.. 2023. 5.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