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오히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도시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와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춘 도시들입니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통계를 최근 5년(2018.1-2023.3)으로 설정하고 5년간 인구가 1만명 이상 증가한 지역들을 알아보았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1만명 이상 증가한 도시들은 총 23개 도시들이었습니다. 비수도권 도시가 8곳이며 수도권 도시가 15곳이었습니다. 먼저 23곳의 지역들을 순서대로 알아보고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위는 충청북도 진천군입니다.
진천군의 인구는 8만 5,842명입니다. 진천군 덕산읍 일대에 충북혁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인구가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5년간 진천군의 인구는 1만 2,086명이 증가하였습니다.
22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입니다.
제주시의 인구는 49만 2,593명입니다. 최근 5년간 제주시 인구는 1만 3,221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제주시는 2010년에 기점으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사람들과 바쁜 도시 생활보다 여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의 이주 수요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였습니다. 현재도 인구는 늘고 있지만 인구 증가율은 조금씩 하락하고 있습니다.
21위는 충청북도 청주시입니다.
청주시 인구는 84만 9,539명입니다. 최근 5년간 청주시의 인구는 1만 4,127명이 증가하였습니다. 동남지구, 가경지구 등 택지개발과 함께 정주 여건도 개선되고 있어 인구가 조금씩 증가하는 지역입니다.
22는 경상남도 양산시입니다.
양산시의 인구는 35만 3,816명입니다. 최근 5년간 양산시의 인구는 1만 4,153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양산시는 부산광역시의 위성도시에서 경상남도에서 인구수가 세 번째로 많은 도시로 성장하였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비수도권에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였습니다.
19위는 경기도 오산시입니다.
오산시 인구는 22만 9,247명입니다. 오산시는 동탄산업단지에 접근성과 세교 1지구 세교 2지구의 개발로 지속적으로 인구 증가를 보여주는 도시입니다. 최근 5년간 오산시의 인구는 1만 5,127명이 증가하였습니다.
18위는 강원도 원주시입니다.
원주시의 인구는 36만 752명입니다. 최근 5년간 원주시의 인구는 1만 9,172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원주시는 강원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를 함께 유치한 도시입니다. 경제적, 지리적 입지가 탁월해 비수도권 도시 중 높은 인구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7위는 인천광역시입니다.
인천광역시의 인구는 297만 1,788명입니다. 최근 5년간 인천광역시의 인구는 2만 1,017명이 증가하였습니다. 광역시 중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는 도시입니다. 인천광역시는 서구, 연수구 등 도시개발이 활발한 지역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부평구, 동구 등 낙후된 지역은 인구의 감소세가 심한 편입니다. 계양신도시, 검단신도시 등 도시개발이 아직 남아 있어 앞으로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입니다.
16위는 경기도 의정부시입니다.
의정부시의 인구는 46만 2,637명입니다. 고산지구와 민락2지구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의정부시의 인구는 2만 430명이 증가하였습니다.
15위는 경기도 과천시입니다.
과천시의 인구는 7만 8,654명입니다. 최근 5년간 과천시의 인구는 2만 1,253명이 증가하였습니다. 과천시의 인구 증가율은 31.07%로 전국에서 인구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과천 지식정보타운, 주암지구 등 도시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15만 인구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4위는 충청남도 천안시입니다.
천안시의 인구는 65만 7,816명입니다. 천안시는 수도권 과밀화 억제와 공장 총량제로 인해 수많은 대학교와 기업, 공장 등이 천안시에 건설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이후로는 인구가 약간 정체되고 있지만 평균 연령이 낮은 도시이기 때문에 미래에도 인구 증가는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 최근 5년간 천안시의 인구는 2만 4,425명이 증가하였습니다.
13위는 충청남도 아산시입니다.
아산시의 인구는 33만 6,690명입니다. 아산시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되면서 인구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최근 5년간 아산시의 인구는 2만 4,986명이 증가하였습니다.
12위는 경기도 양주시입니다.
양주시의 인구는 25만 698명입니다. 양주시의 최근 5년간 인구 증가는 3만 8,541명이었습니다. 양주시는 7호선, GTX 등 교통 호재와 도시개발로 인해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위는 경기도 고양시입니다.
고양시의 인구는 107만 3,513명입니다. 최근 5년간 고양시의 인구는 3만 6,328명이 증가하였습니다. 고양시는 1992년 시로 승격한지 4년 만에 50만 인구를 넘어서고, 2014년 8월에는 100만 인구를 돌파하였습니다. 창릉신도시, 향동지구 등 남아있는 택시개발이 완성되면 향후 고양시의 인구는 130만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10위는 경기도 광주시입니다.
광주시의 인구는 39만 949명입니다. 최근 5년간 광주시의 인구는 4만 3,451명이 증가하였습니다. 광주시는 과거 성남시와 하남시를 분리시키며 도시를 축소시켰지만 2000년 이후 다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40만 인구를 달성하였습니다.
9위는 경기도 파주시입니다.
파주시의 인구는 49만 6,450명입니다. 파주시는 운정신도시, 문산, 파주출판도시의 개발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파주시 인구는 5만 7,169명이 증가하였습니다.
8위는 경기도 용인시입니다.
용인시의 인구는 107만 3,513명입니다. 최근 5년간 용인시의 인구는 6만 7,279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용인시는 2017년 9월 광역시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네번째로 100만 인구를 달성하였습니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 위주의 탄탄한 경제력으로 인구 증가는 미래에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7위는 경기도 남양주시입니다.
남양주시의 인구는 73만 5,649명입니다. 최근 5년간 남양주시의 인구는 6만 8,627명이 증가하였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다산신도시를 비롯한 6만 6천세대의 왕숙신도시 등 크고 작은 아파트 단지의 건설로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입니다. 다만 남양주시는 지역내 기업 및 일자리 의료시설 등이 부족해 인프라 확충이 필요해 보입니다.
6위는 경기도 시흥시입니다.
시흥 51만 7,336명입니다. 최근 5년간 시흥시의 인구는 9만 4,390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시흥시는 과거에는 낙후된 도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여러 대도시와 인접한 지리적 이점으로 도내에서는 11번째 전국에서는 17번째로 50만 인구수를 달성하였습니다. 현재도 광명, 시흥신도시, 하중지구 등 도시개발 예정지역이 남아 있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예정입니다.
5위는 경기도 김포시입니다.
김포시의 인구는 48만 4,514명입니다. 최근 5년간 김포시의 인구는 9만 1,048명이 증가하였습니다. 한강신도시의 개발로 인구가 급격하게 상승하였습니다. 광역교통망의 개선과 한강변 콤팩트 시티의 개발을 통해 지역인구 7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위는 경기도 하남시입니다.
하남시의 인구는 32만 6,768명입니다 최근 5년간 하남시의 인구는 9만 2,349명이 증가하였으며, 인구 증가율은 39.39%입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인구 증가율을 기록하였습니다. 위례신도시, 미사강변도시 등이 조성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습니다. 3기 신도시인 교산신도시가 개발되면 하남시의 인구는 40만명을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위는 경기도 평택시입니다.
평택시의 인구는 58만 3,029명입니다. 최근 5년간 평택시의 인구는 10만 292명이 증가하였습니다. 2010년부터 시작된 신도시와 택시개발로 인해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되었고,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건설되면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위는 세종특별자치시입니다.
세종시의 인구는 38만 5,609명입니다. 최근 5년간 세종시의 인구는 10만 2,411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세종시는 출범당시 11만 5,000명의 인구에서 시작하였고, 도시개발이 진행되면서 3년 만에 인구 20만명을 돌파하였습니다. 출범 6년을 앞둔 2018년 5월에는 30만 인구를 달성하였습니다.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광역자치단체이며, 신생아 수가 유일하게 증가하는 도시입니다.
1위는 경기도 화성시입니다.
화성시의 인구는 92만 2,231명입니다. 최근 5년간 화성시의 인구는 무려 22만 5,644명이 증가하였습니다. 화성시는 시승격 당시 21만명에 불과한 소도시였으나, 동탄신도시의 개발과 양질의 일자리 확보로 22년간 거의 5배의 육박하는 인구 증가를 보였습니다. 2019년 9월 80만 인구를 달성하였고 3년만인 2022년 9월에는 90만 인구를 달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대규모 택지개발과 일자리 호제도 예정되어 있어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1만명 이상 인구가 증가한 도시들도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일자리가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라는 것입니다. 인구가 5만 명 이상 증가한 도시 9곳을 살펴보면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하고 모두 수도권에 대한 도시들이었습니다. 순위에 포함된 비수도권 도시 중에서도 천안시, 아산시, 원주시는 수도권에서 1시간대 거리에 있는 도시들입니다. 사실상 수도권과 거리가 매우 가까운 비수도권 도시입니다. 일자리가 인구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남양주시, 양주시 같은 경우 일자리는 없지만 쾌적한 신도시의 건설로 인구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인구의 증가는 일자리와 쾌적한 주거환경에 의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도시연구소ch., 16 Apr. 2023
'Future Strategy > 미래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직농업vertical farming: 작물을 높이 쌓는 것이 농업의 미래가 될 수 있는 이유 (0) | 2023.04.28 |
---|---|
한국을 부자로 만들어줄 나라들 목록 (0) | 2023.04.25 |
한국에서 최근 5년간 인구 수 1만명 이상 감소한 도시 (0) | 2023.04.18 |
제너레이티브 AI를 걱정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0) | 2023.03.03 |
예측분석이란 무엇일까?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