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혁신 기술
∙ (선정 기준) 자금 및 R&D가 집중되고 향후 3~5년간 시장의 지각변동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12가지 기술을 선정
1. 자율 분석(Autonomus Analytics)
2.가상·증강현실(VR/AR)
3. 자율주행
4. 컴퓨터 비전
5. 심층학습
6. 분산 원장
7. 엣지 컴퓨팅
8. 센서 기술
9. 스마트 로봇
10. 우주 기술
11. 지속 가능성 기술
12. 5G/6G
차세대 혁신 기술의 영향 발현 분야/지역
- (산업) 운송, 은행·금융서비스·보험(BFSI), 통신, 산업재, 의료 등의 주요 수직산업은 자율 분석·센서 기술·스마트 로봇 등 분야 횡단적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기술 도입 비중이 높을 전망
- 운송 산업의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기술, 미디어 산업의 AR·VR 기술 등 특정 산업 분야의
맞춤형 유스케이스가 성장하며 특정 기술이 부상
- 운송 산업은 복수의 혁신 기술이 융합되고 가장 많은 자금 투자가 진행되는 핵심 수직 산업으로 부각
- (지역) ▲ 유럽이 글로벌 기술 조달액의 10% 이하를 유치하며 미국, 아·태지역보다 저조한 성적을 기록
▲ 기술 채택 양상은 지역에 따라 상이(북미 자율 분석, 아·태 스마트 로봇 중심)
혁신 기술 구매자 및 공급자
- (구매자) 전 지역이 자율 분석, 엣지 컴퓨팅, 5G/6G, 심층학습에 최우선 구매 의향 표출
- 지속 가능성, 분산원장기술에 대한 구매자의 평가는 낙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
- 대형 구매자는 엣지 컴퓨팅, 5G/6G, AR·VR 기술에 집중하고, 소형 구매자는 심층학습과 같은 틈새 기술을
우선적으로 선택
- (공급자) 기업은 전반적으로 자율 분석, AR·VR, 5G/6G, 지속 가능성 기술을 우선시
- 대형 공급업체는 유스케이스가 정립된 기술(5G/6G, AR·VR)과 주도권 확보를 위한
초기 기술(컴퓨터 비전, 심층학습)에 모두 중점을 두며 사업 구조를 다각화
- 중규모 공급업체와 디지털 기업은 틈새 영역에 주력하거나 특정 기술에 집중 투자
기업의 기술 전략 방향
- 기술 전략 수립·실행을 신속하게 추진하면서
▲핵심 기술, 수직 산업, 지역에 초점을 두고 미래 성장을 주도할 ‘문샷(moonshot)’ 영역 실별
▲핵심 역량 투자를 통해 ‘성장에 적합한(fit for growth)’ 조직 구축 등을 추진
(참고 : BCG, Sandboxing into the Future: Decoding Technology's Biggest Bets, 2022.12.07.)
인도 소프트웨어산업협회(NASSCOM)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향후 3~5년간 산업 지형을 변화시킬 차세대 혁신 기술과 관련 분야를 고찰한 보고서
-----
산업,기술동향No.24(KIAT), 28 Dec. 2022
'Coffee brea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민청 설립에 주목하자 #1 - 인구구조 변화 대응방안 (0) | 2023.01.05 |
---|---|
마음챙김Mindfulness 시작하기 (0) | 2023.01.04 |
’23년 글로벌 정세 및 경제 전망 (0) | 2022.12.29 |
5G와 4차 산업혁명 (0) | 2022.12.23 |
변수가 아니라 상수를 늘려 나가자 (0) | 2022.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