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ffee break

미래산업 지형 주도할 차세대 혁신 기술 전망

by 홍인브로 2022. 12. 29.
728x90
차세대 혁신 기술

∙ (선정 기준) 자금 및 R&D가 집중되고 향후 3~5년간 시장의 지각변동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12가지 기술을 선정

  1. 자율 분석(Autonomus Analytics)

  2.가상·증강현실(VR/AR)

  3. 자율주행

  4. 컴퓨터 비전

  5. 심층학습

  6. 분산 원장

  7. 엣지 컴퓨팅

  8. 센서 기술

  9. 스마트 로봇

  10. 우주 기술

  11. 지속 가능성 기술

  12. 5G/6G

 

차세대 혁신 기술의 영향 발현 분야/지역
  • (산업) 운송, 은행·금융서비스·보험(BFSI), 통신, 산업재, 의료 등의 주요 수직산업은 자율 분석·센서 기술·스마트 로봇 등 분야 횡단적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기술 도입 비중이 높을 전망  

       - 운송 산업의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기술, 미디어 산업의 AR·VR 기술 등 특정 산업 분야의

          맞춤형 유스케이스가 성장하며 특정 기술이 부상

       - 운송 산업은 복수의 혁신 기술이 융합되고 가장 많은 자금 투자가 진행되는 핵심 수직 산업으로 부각

 

  • (지역) ▲ 유럽이 글로벌 기술 조달액의 10% 이하를 유치하며 미국, 아·태지역보다 저조한 성적을 기록

                   ▲ 기술 채택 양상은 지역에 따라 상이(북미 자율 분석, 아·태 스마트 로봇 중심)

 

 

혁신 기술 구매자 및 공급자 
  • (구매자) 전 지역이 자율 분석, 엣지 컴퓨팅, 5G/6G, 심층학습에 최우선 구매 의향 표출 

       - 지속 가능성, 분산원장기술에 대한 구매자의 평가는 낙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

       - 대형 구매자는 엣지 컴퓨팅, 5G/6G, AR·VR 기술에 집중하고, 소형 구매자는 심층학습과 같은 틈새 기술을

         우선적으로 선택

  • (공급자) 기업은 전반적으로 자율 분석, AR·VR, 5G/6G, 지속 가능성 기술을 우선시

       - 대형 공급업체는 유스케이스가 정립된 기술(5G/6G, AR·VR)과 주도권 확보를 위한

         초기 기술(컴퓨터 비전, 심층학습)에 모두 중점을 두며 사업 구조를 다각화

       - 중규모 공급업체와 디지털 기업은 틈새 영역에 주력하거나 특정 기술에 집중 투자

 

 

기업의 기술 전략 방향
  • 기술 전략 수립·실행을 신속하게 추진하면서

     ▲핵심 기술, 수직 산업, 지역에 초점을 두고 미래 성장을 주도할 ‘문샷(moonshot)’ 영역 실별

     ▲핵심 역량 투자를 통해 ‘성장에 적합한(fit for growth)’ 조직 구축 등을 추진

 

 

 

Image ⓒ BCG, NASSCOM

 

(참고 : BCG, Sandboxing into the Future: Decoding Technology's Biggest Bets, 2022.12.07.)

인도 소프트웨어산업협회(NASSCOM)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향후 3~5년간 산업 지형을 변화시킬 차세대 혁신 기술과 관련 분야를 고찰한 보고서

 

-----

산업,기술동향No.24(KIAT), 28 Dec. 2022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