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Future Strategy115

2023 국제의료 트렌드 KHIDI 국제의료시장분석팀은 2022년도 한 해 동안 국제의료분야의 국내‧외 언론보도, 보고서, 해외 보건의료정책 등을 분석하여 트렌드 키워드 후보군 15개를 도출한 후, 보건의료 분야 종사자 4,344명의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거쳐 국제의료 트렌드 키워드 Top 5를 선정했다. 선정된 2023년 국제의료 트렌드 키워드는 ▲일상으로의 회복, 엔데믹 ▲시·공간 제약을 넘는 진료혁신, 비대면의료 ▲개인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디지털 기반 환자 치료영역의 확장, 디지털치료기기(DTx) ▲엔데믹시대 의료관광의 재도약, 의료관광 회복이며, 추가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가치 실현, 보건의료 ESG가 선정되었다. 각 키워드별 국내‧외 정책, 산업규모, 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최신 동향.. 2023. 2. 2.
제너레이티브generative AI 제너레이티브 인공 지능(AI)은 오디오, 코드, 이미지, 텍스트, 시뮬레이션 및 비디오를 포함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예: ChatGPT)을 설명합니다. 이 분야의 최근 새로운 돌파구는 콘텐츠 제작에 접근하는 방식을 크게 바꿀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과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차이점은? 인공 지능AI은 기계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관행과 거의 같습니다. Siri 및 Alexa와 같은 음성 비서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웹 사이트 탐색을 돕기 위해 팝업되는 고객 서비스 챗봇도 마찬가지입니다. 기계 학습은 인공 지능의 한 유형입니다. 기계 학습을 통해 실무자는 인간의 지시 없이 데이터 .. 2023. 1. 27.
'오피스 빅뱅' - 트렌드 2023 코로나19 이후 가장 큰 변화가 찾아온 분야가 바로 '오피스'입니다. 감염을 피하기 위한 임시방편이었던 재택근무를 경험해보니 생각보다 너무 좋습니다. 재택근무 경험 직장인 중 70~80% 이상이 재택근무를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그러니 이제 재택근무를 기본으로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업들도 이런 요구에 빠르게 화답합니다. 네이버는 전면 재택 근무와 주 3회 출근 중 직원들이 마음에 드는 방식을 선택하는 하이브리드 워크를 도입했습니다. 구글은 주 3회 출근과 원격 근무를 병행합니다. 이와 정반대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주당 최소 40시간 출근하지 않으면 회사를 나가라라고 엄포를 놓았습니다. 사실 몇몇 빅테크 기업을 제외한 대부분 회사들은 이제 100% 출근을 요구하죠. 그러면 이런 요.. 2023. 1. 6.
'평균 실종' - 트렌드 2023 격변의 시대에 가장 위험한 것은 격변 자체가 아니다. 지난 사고방식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피터 드러커 우리는 분명 겪어보지 못한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변화가 문제가 아닙니다. 피터 드러커가 말했듯 변화보다. 중요한 건 변화를 대하는 사고방식입니다. 사회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직시하고 그에 맞춰 사고방식을 바꾸면 생존합니다. 그러나 낡은 사고방식을 고집하는 사람은 도태됩니다. 지금 우리는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해야 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생존할 수 있을까요? 과거 대한민국 사회에는 국룰이 존재했습니다. 인서울 혹은 지방국립대 졸업, 대기업 취업 혹은 공무원 합격, 20대 후반 30대 초반의 결혼, 자녀 2명, 40대 내집마련, 정년퇴직 후 연금생활 그런데 이런 국룰.. 2023. 1. 6.
728x90